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 나왔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시죠.불만을 노래해, 나도 가수다, 민주당 선거 캠페인 아닌가요? <br><br>맞습니다. 야심차게 기획했지만, '홍보'인 듯 아닌 듯 헷갈리는 처지에 놓였는데요. <br> <br>쌀집 아저씨로 유명한 김영희 민주당 홍보소통본부장이 내놓은 민심 청취 오디션이죠. 어떤 작품들이 예심을 통과했는지, 보여드릴게요. <br><br>"코로나로 여기저기 너도나도 힘이 드는데 왜 항상 소상공인~" <br> <br>"쏟아지는 청년 정책들 이제 제대로 좀 해보잔 거야. 선거 때 되면 항상 나오는 정책, 바라만 보는 청년 믿어달라고 말할까~" <br> <br>"너는 듣고 있는가 우리들 민중의 노래 다시는 약자처럼 살 수 없다 외치는 소리" <br><br>Q. 민주당 의원들도 참여했지요. <br><br>네. 장경태, 이수진, 임오경 의원 등이 보좌진들과 함께 노래했죠. <br><br>Q. 열정적이네요. 그런데 왜 '홍보인 듯 아닌 듯'인가요? <br><br>불만을 노래하다보니, "부동산 정책이 엉망이다" "청년 빚이 늘었다"처럼 장점이 아닌 실책을 홍보하는 꼴이 됐기 때문인데요. <br><br>이 후보 공식 앱에는 "누구 홍보냐" "2번 찍으라고 만든거냐냐"는 지지자들의 비판이 쏟아졌습니다. <br><br>Q. 불만을 들어서 정책에 반영한다는 취지는 좋잖아요. 홍보 효과는 어떻습니까. <br><br>조회수가 영상마다 천 건 안팎인데요. <br><br>국민의힘은 조회수를 보면, 호응이 낮다며 비판했는데요. <br><br>자신들의 비판 이후 조회 수가 10배 늘어났다고 비꼬기도 했습니다.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시죠. 이번 대선 후보자들, 유독 반려동물과 친근한 것 같아요. <br><br>네. 대선 후보들, 설 연휴에도 반려인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열심입니다. <br><br>Q. 어두운 길에 고양이들이 있네요. <br><br>네. 이재명 후보가 SNS에 올린 건데요. 고향 가는 길 휴게소에서 만난 길고양이 영상입니다.<br><br>"야옹야옹~ 그런데 배는 안 고픈 것 같아"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가족에 반려동물이 들어가는 게 새 시대상"이라며 올린 취지를 설명했습니다. <br><br>Q. 반려동물 하면 빼놓을 수 없는 후보, 있죠. <br><br>윤석열 개 안고 화보 찍는 윤석열 후보, 강아지 고양이를 모두 합쳐 7마리 키우고 있죠. <br> <br>화보 촬영에도 함께했습니다.<br><br>윤석열 "우리 써니가 있어야 웃음이 나와요" <br>(써니 뽀뽀) <br><br>Q. 안철수 심상정 후보도 고양이와 함께 있네요?<br> <br>네. 100만 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한 고양이 유튜브 채널에 각각 출연한 겁니다. <br><br>[심상정 / 정의당 대선 후보]<br>(손길이 예사롭지 않으시네요) "어렸을 때 해피와의 인연 때문에" <br>"(동물도) 권리주체라는 걸 명확히 하자, (동물보호법이 아닌) 동물 복지법으로 해야 한다." <br><br>[안철수 / 국민의당 대선 후보]<br>"여러분, 제 무릎 앞에 고양이 한 마리는 지금 자고 있습니다. 이 정도로 저도 고양이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걸" <br><br>다들 열심인데, 펫심이 어디로 향할지 궁금해집니다. <br><br><br><br>Q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'공약 다툼', 이재명, 심상정 후보 간의 다툼인가요? <br><br>심상정 후보가 공개한 영상부터 보시죠. <br><br>심상정 "이재명이 타투 합법화 한대" <br>류호정 "알죠 제가 작년에 발의한 건데" <br>심상정 "갑자기 왜들 그러냐" <br> <br>강민진 "근데 저쪽은 주 4일제 한대요?" <br>심상정 "안 할걸? 강 대표 2003년에 몇 살이었어?" <br>강민진 "아홉 살이었나" <br>심상정 "주5일제 누가 한 줄 알아? 2003년도에?" <br>"하던 사람이 해야지, 누가 하겠어" <br><br>Q. 이재명 후보 공약이 알고보면, 내가 먼저다 이런 뜻이죠? <br><br>맞습니다. 그런데 방금 보신 영상에서 심 후보의 '주5일제 누가 한 줄 아냐'는 발언이 논란에 휩싸였습니다. <br><br>Q. 심 후보가 가장 먼저 추진한 게 아닌가요? <br><br>주 5일제가 도입된 건 2003년인데, 심 후보가 국회의원에 당선된 건 그 이후인 2004년이다보니 제기된 논란인데요. <br> <br>2003년엔 민주노총 금속노조 사무처장이었습니다. <br><br>강민진 청년 정의당 대표는 "당시 심 후보가 교섭 책임자로서 주5일제 합의를 끌어냈다"며 해명했습니다. <br><br>Q. 그렇군요. 이번 대선에 유독 공약 원조 경쟁도 치열하네요. <br><br>신경전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데요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 (지난달 13일) <br>윤석열 후보님, 우리 오랜만에 통한 것 같습니다 <br><br>[안철수 / 국민의당 대선 후보] (지난달 12일) <br>(제가) 작년 11월에 발표했던 것이 5?5?5 전략입니다. 그 이름은 이재명 후보가 베꼈습니다. 제가 진짜고요. 이재명 후보 5·5·5 는 짝퉁 5·5·5 이렇게 부르시면….<br> <br>뭘 하겠다는 게 비슷하면, 어떻게 그걸 추진할 건지, 그 능력을 보여주는 걸로 차별화해보는 건 어떨까요. <br><br>Q. 이재명 후보는 반대로 상대 당인 홍준표 유승민 후보 공약을 받아들이겠다고 하더군요. 공약이 비슷비슷해집니다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이혜림PD <br>그래픽: 권현정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